요즈음 여러 대중 매체를 통해 양주에 대한 이야기를 접할 기회가 많아 졌습니다. 그리고 조니 워커 한 병이 큰 선물로 여겨졌던 시절이 있었는가 할 정도로 이젠 어느 곳에서나 쉽게 양주를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양주만 수입이 되었을 뿐 양주에 대한 문화까지는 수입이 되지 않은 것 같아 많이 안타깝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양주를 찾고, 양주라고 마시지만 맛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 술에 걸 맞는 문화까지 즐기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위스키, 코냑, 브랜디
우리나라에서 ‘양주’라고 부르는 술들은 서양에서 생산되는 알코올성 음료를 일컫는 말로 상당히 포괄적입니다. 좁게는 많이 접하는 위스키와 코냑 정도를 양주라고 하기도 하죠. 우선 주를 이루는 이 위스키와 코냑은 술의 원재료로 구분을 해야 합니다.
위스키는 여러 가지 곡류를 발효시킨 몰트(맥아)를 원료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몰트의 향이 존재하게 되며 몰트의 향이 부드럽고 은근하게 잘 우러나야 좋은 위스키가 되죠. 때에 따라서는 숙성을 시키는 통의 오크 향도 은은하게 배여 있기도 합니다. 위스키는 생산지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스카치 위스키(scotch whisky), 아이리쉬 위스키(Irish whisky), 버번(Bourbon) 등이죠. 스코틀랜드에 생산된 위스키를 스카치 위스키라 부르며 가벼운 느낌이며 보리를 주원료로 하는 몰트를 훈제하는 경우가 많아 훈제 향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일랜드에서 생산되는 아이리쉬 위스키는 스카치 위스키와 아주 흡사하지만 훈제 향이 없으며 더 가벼운 느낌이 납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도 위스키가 많이 생산됩니다. 특히 버번이라는 위스키는 옥수수를 원료로 켄터키의 버번(Bourbon)에서 처음 생산되었지만 지금은 옥수수가 섞인 유사한 미국산 위스키를 모두 버번이라 일컫습니다. 숯에 그을린 오크통에 숙성시켜 숯향이 섞인 오크향이 진하게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잭다니엘스’류의 버번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도 오크향이 섞인 달콤한 맛이 위스키에 접근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위스키의 재료는 몰트지만 코냑은 근본적으로 다른 원료를 사용합니다. 포도를 원료로 사용하는 코냑은 포도증류주인 셈이죠. 그렇지만 포도로 만들었다고 모두 코냑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는 없습니다. 코냑은 오직 프랑스의코냑(Cognac)지방에서만 생산된 포도증류주에만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코냑 이외의 지방에서 만들어진 것들은 브랜디라 부릅니다. 코냑도 여러 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위스키는 숙성시킨 년수에 따라 몇 년 산이라고 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록이 안된 위스키들은 대부분 6년에서 8년 사이의 숙성이 대부분입니다. 코냑은 숙성기간을명시하기 보다는 특이한 표시로 숙성기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숙성의 짧음에서부터 보면 V.O(2년) → V.S.O.P:very superior old pale (4년) → Napoleon (5년) 등입니다.
특히 5년 이상된 코냑은 많은 회사들이 XO, Extra, and Reserve 등의 이름으로 표시합니다. 또한 Anniversaire, Triomphe, Cordon Bleu 등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이름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샴페인
럼코냑과 비슷하게 지방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술이 또 있습니다. 샴페인이라 부르는 일종의 스파클링 와인이 그런 경우입니다. 포도주에 가스를 주입해서 만드는 술을 스파클링 와인이라 하죠. 그러나 샴페인 지방에서 생산되는 일급의 스파클링 와인에는 샴페인이라는 이름이 붙여집니다. 프랑스 현지에서도 가장 싼 가격의 샴페인은 우리 돈으로 만원이 넘습니다. 프랑스에서 2-3천원에 판매되는 포도주가 국내에서는 1만원 이상 혹은 훨씬 더 비싼 경우가 허다하니 국내의 수입환경을 고려할 때 최소한 4,5만원 이상은 할 것입니다. 샴페인은 그야말로 최고의 날에만 터뜨릴 수 있는 술인 셈이죠.
럼
남미에는 여름이 되면 전 세계인들이 즐겨 마시도록 하는 술이 있습니다. ‘럼 (rum) 이라고 불리는 사탕수수로 만든 술이죠. 해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통술을 마시는 모습인데 이 술이 대체로 럼입니다. 럼은 특히 사탕수수가 많이 생산되는 쿠바를 떠올리게 합니다. 럼주 중에서 특히 유명한 상표는 바카디입니다. 여름이 되면 전 세계 곳곳에서 바카디의 광고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흰색 럼과 갈색 럼이 있습니다. 갈색럼은 ‘캡틴큐’라는 우리나라 럼주를 기억하고 계신분들이 많을 겁니다. 럼주, 특히 흰색 럼, 콜라, 그리고 라임의 조화는 더운 여름을 잊도록 해주기에 충분합니다. 라임은 레몬과 비슷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녹색입니다. 향이 아주 독특하며 쓴맛을 지니고 있습니다. 희색 럼과 콜라를 섞은 후 몇 조각의 라임 슬라이스를 넣으면 맛있는 쿠바의 자유(Cuban Freedom)이라는 칵테일이 만들어 집니다.
개인적으로는 언젠가 부터 여름에 이 쿠바의 자유가 없다면 여름이 여름 같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만들기도 아주 쉽고 간단할 뿐더러 무엇보다 여름을 느끼게 만들어 주는 술입니다. 아쉬운 것은 국내에서는 라임을 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입니다.
술의 이해
술의 원재료만이라도 이해하고 마신다면 술에 대한 생각과 소비양식이 많이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술집에서 마구 마시는 술에 대한 ‘학대’도 술에 대한 이해 없이 단지 비싼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과 비싼 것이 좋다는 단순한 믿음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술에 대한 이해가 좀더 있다면 술이 우리에게 즐거움과 기쁨을 가져다 줄 뿐 아니라 술에 대한 절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적절한 자리에 적절한 술이 분위기를 돋운다면 술이 우리를 지배하는 존재가 아니라 우리 옆에서 훌륭한 봉사 군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겁니다.
1
알고 마시는 알고 즐기는 술이 되길…